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3/02/761_346145.html?utm_source=CU
Unhappy Koreans
Coexistence should be prioritized beyond growth 공존이 성장보다 우선시 돼야
www.koreatimes.co.kr
Coexistence should be prioritized beyond growth
공존이 성장보다 우선시 돼야
unhappy 불행한, 슬픈, 불만족스러워하는, 기분이 나쁜, 불운한, 부적절한
coexistence 공존
coexist 동시에 있다, 공존하다, 같은곳에 있다
concurrent = simultaneous = synchroneous 공존하는, 동시에 발생하는
synchronize = coincide 동시에 발생하다, 동시에 움직이다, 동시에 발생하게 하다
concur = accord = conform = correspond = coincide 동의하다, 의견일치를 보다, 부합하다, 일치하다, 상응하다
prioritize 우선순위를 매기다, 우선적으로 처리하다
priority = precedence 우선, 우선함, 우선권, 우선사항
preferential 우선권을 주는, 특혜를 주는
preferable 더 좋은, 선호되는
Korea is the role model of many developing countries. It has shifted from a beggar to a donor in a couple of generations and boasts a vibrant democracy. Korea's pop culture, called "hallyu," is sweeping even U.S. and European award ceremonies. In its 5,000-year history, this country's glob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 has never been more significant than now.
한국은 많은 개발도상국의 롤모델이다. 몇 세대 만에 기부 받는 국가에서 기부국으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활기찬 민주주의를 자랑한다. 한국 대중문화인 ‘한류'는 미국과 유럽의 각종 시상식까지 휩쓸고 있다. 5000년 역사에서 한국의 세계 경제 및 문화적 영향력이 지금보다 더 컸던 적은 없었다.
role model = example 역활 모델, 모범이 되는 사람, 본보기
quintessence = embodiment = epitome = personification = incarnation = representation = figuration = manifestation (무엇의 완벽한)전형, 진수, 정수
developing country = underdeveloped country = less developed country 개발 도상국, 후진국
developed country = advanced country 선진국
semi developed country 중즌국
begger 거지, 거지로 만들다, 아주 가난하게 만들다
donor 기부자, 기증자, 헌혈자
boast = show off = flex = flaunt = brag = strut one's stuff = talk big 자랑하다, 과시하다, 뽐내다
vibrant = bustling = exciting = full of life = vigorious = animated = lively = bubbly = high-spirited = lusty = kicking = spirity 활기찬, 생기넘치는
sweep 휩쓸다, 쓸다
sweep the awards 상을 휩쓸다
cultural influence 문화적 영향력
Still, Koreans are now unhappier than ever.
하지만 한국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불행하다.
still 그런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계속해서)
more than ever 여느때 보다 더 , 여느 때 없이
Recent government data based on the U.N. World Happiness Report 2022 is only its latest affirmation.
유엔의 2022 세계 행복보고서에 기반한 최근 정부 자료는 이러한 사실을 재확인해주는 가장 최근 자료다.
based on = founded on = grounded on ~에 기초한, ~에 근거한, ~을 바탕으로 한
affirmation = confirmation = assertion = averment = asservation = declaration = definite statement 단언, 확언, 확인
According to a Statistics Korea report, Korea ranked 36th from 2019 to 2021 when it comes to the people's life satisfaction, which places the country third lowest among 38 OECD member nations after Colombia and Turkey.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국민의 삶 만족도에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6위를 기록하며 OECD 38개 회원국 중 콜롬비아와 터키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life satisfaction 삶 만족도, 생활 만족도
rank = place = rise to = register = record = chart = position = mark = grade 기록하다, 달성하다, 이르다, 위치하다, 오르다
Why? Various sectoral statistics reflect the dismal reality, but two stand out — the highest suicide rate and the lowest birth rate. In other words, many Koreans want to break away from the hierarchical society here reminiscent of the compartmentalized trains in the movie "Snowpiercer" and many don't want their offspring to hop on the stifling caravan.
왜 그럴까? 여러 분야에서의 통계가 암울한 현실을 반영하지만 그 중에서도 두 분야가 눈에 띄는데, 바로 가장 높은 자살률과 가장 낮은 출산율이다. 다시 말해, 한국인 다수는 영화 ‘설국열차'의 칸막이 열차를 연상시키는 한국의 계급 사회에서 벗어나길 원하며 자녀들이 숨막히는 경쟁의 대열에 합류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sectoral 부문간의, 분야별, 부문별
dismal = grim = gloomy = bleak = black = dreary = leaden = ashen = gray = miserable = wretched = pitiable = hopeless = dark = pitch-dark = pitch-black 우울한, 암울한, 어두운
stand out = stick out 눈에 띄다, 잘 보이다, 두드러지다
suicide rate 자살율
brith rate = fertility rate = childbirth rate 출산율
in other words = namely = that is to say = that is = to put it in another way 다시 말해서, 달리 말해서
break away from ~에서 달아나다, 벗어나다, 독립하다, 제치고 나가다
bail out of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탈출하다, (더 이상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벗어나다
hierarchical society 계급 사회
reminiscent of ~을 회상케하는, ~을 연상케하는
compartmentalized trains 구획화된 열차, 칸막이 열차
compartmentalize (특히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구분하다
offspring 자식, (동식물)새끼
hop on 뛰어 오르다, 깡충깡충 뛰다, 한발로 깡충깡충 뛰다
stifling = suffocating = stuffy 숨막히는, 질식할 것 같은
caravan = trailer 이동식 주택, 포장마차, (특히 사막을 건너는) 대상
caravanning 이동식 주택(caravan)을 타고 다니는 휴가
This is a country of unlimited, breakneck competition. Once you drop out of the rat race, having a second chance is almost impossible. A feudal society as recently as 130 years ago, Koreans had opportunities to move up as their country was modernized and industrialized. However, Korea has returned to a hierarchical society based on money. Koreans born with a "dirt spoon" in their mouths can never beat those born with a "gold spoon."
한국은 무서운 무한 경쟁의 나라다. 극심한 생존 경쟁에서 낙오되는 순간 또 다른 기회는 거의 주어지지 않는다. 불과 130년 전까지 봉건사회였던 한국이 근대화, 산업화를 거치면서 한국인은 사회적 신분 상승의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한국은 자본주의에 기반한 계급 사회로 되돌아갔다. 입에 "흙수저"를 물고 태어난 한국인은 "금수저"로 태어난 이들을 결코 이길 수 없다.
unliminted 무제한의, 무한정의
breakneck 위험할 정도로 빠른, 정신없이 달려가는
drop out of ~에서 중도 하차 하다
rat race 치열한 생존 경쟁, 먹고 살려는 아사리팜
feudal society 봉건사회
move up = ascend 승진하다, 출세하다, (주가/회폐/가치)상승하다
modernize 현대화하다
industrialize 산업화하다, 공업화하다
based on moeny = based on capitalism 돈에 기반한, 자본주의에 기반한
born with ~에서 태어난
born with a dirt spoon in one's mouth 흙수저를 물고 태어 나다
born with a gold spoon in one's mouth =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 금수저로 태어나다, 부를 물고 태어나다
As the new saying shows, few pay attention to silver medalists or runners-up in this polarized society. Even the people who won first place, including CEOs, do not feel happy and are unsure of their standing. So,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most prestigious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dying to send their children to U.S. Ivy League schools to ensure a better future when judged using a materialistic yardstick. Korea might be the only country where money — not family — is the foremost concern of the people.
최신 속담에서 알 수 있듯 양극화 사회에서 2등 혹은 일반 참가자를 주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심지어 CEO를 포함해 1등을 차지한 사람들도 행복하지 못하고 자신의 지위가 유지될 지 확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최고의 명문 대학인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조차 물질 만능주의적인적인 기준에서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자녀들을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에 보내려고 안달복달이다. 한국은 가족이 아닌 ‘돈'이 사람들의 최우선 관심사인 유일한 국가일지도 모른다.
saying = adage = maxim = proverb = aphorism 격언, 금언, 속담
pay attemtion to = pay heed to = take heed of ~에 주의하다, ~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다
silver medalist 은메달 리스트
runner-up 차점자, 2위, (1위 외의)입상자
polarized society 양극화된 사회
divided soceity 분열된 사회
unsure 확신하지 못하는, 의심스러워 하는
standing = status = position = rank 지위, 위치, 신분, 자리
graduate from ~을 졸업하다
prestigious university 명문대학, 일류대학
be dying to ~하고 싶어 죽겠다, ~하고 싶어 못견디다
when judged 판단 했을 때
materialistic yardstick 물질만능주의적인 기준
materialism 물질 만능 주의, 유물론
idealism 이상주의, 관념론, 유심론
realism 사실주의, 리얼리즘, 현실주의
foremost = the mosot important 가장 주요한, 맨 앞에 위치한
first and foremost 가장 중요한 것으로, 다른 무엇 보다도
All this shows Koreans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happiness. Two countries deserve their attention in this regard — Finland and Bhutan.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ir national income levels, these countries put focus on building a close and wide social safety net instead of economic growth. Fins and Bhutanese also prioritiz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find happiness in small things.
이 모든 현상은 한국인이 행복의 의미를 재정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두 국가가 있는데, 바로 핀란드와 부탄이다. 이 국가들은 국가 소득 수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경제 성장보다는 넓고 촘촘한 사회 안전망 구축에 주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핀란드인과 부탄인들도 사람 사이의 관계를 우선시하며 사소한 것에서 행복을 찾는다.
redefine 재정립하다
the meaning of happiness 행복의 의미
deserve attention 주목할 가치가 있다, 주목할 만하다
in this regard = in this light = in that sense 이점에서, 이러한 점에서
national income level 국가 수입 수준
social safety net 사회 안전 망
economic growth 경제적 성장
prioritize = put priority on = have precedence on 우선순위를 매기다, 우선적으로 처리하다
Korea also has a unique generational trend concerning the quality of life. In most industrial countries, life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ee from coping with livelihood issues, but falls when they reach middle age and become breadwinners of their families, and rebounds among older adults after retirement.
또한 한국에는 삶의 질과 관련한 독특한 세대적 추세가 있다. 대부분의 산업 국가에서 생계 문제에서 자유로운 어린이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중년에 이르러 가장이 되면 떨어지고, 은퇴한 노인들 사이에서 다시 올라간다.
generational trend 세대적 추세, 세대간의 추세
quality of life 삶의 질
industrial country 산업 국가
life satisfcation 삶의 만족도, 생활 만족도
adolescent 청소년, 청소년기의
adolescence 청소년기
puberty 사춘기
pubescent 사춘기의
free from ~이 없는, ~으로 부터 벗어난
livelihood = living = existence 생계
breadwinner = head of household 가장, (집안의)생계비를 버는 사람
bring home the bacon ~에 성공하다, 밥벌이를 하다
retirement = superannuation = disengagement = departure 은퇴, 퇴직, 은퇴생활
In Korea, however, the globally notorious suicide rate is even higher among teens and the elderly. They drop out before jumping into the main competition or cannot escape the rat race until death. Competition exists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No wonder youngsters call their country "Hell Joseon," after the dynasty before this republic was born.
그러나 한국에서는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자살률은 10대와 노인들 사이에서 매우 높다. 10대와 노인들은 경쟁의 본선에 뛰어들기 전에 낙오되거나 죽을 때까지 무한 경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경쟁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계속된다. 한국 청년들이 대한민국 탄생 전 왕조 이름인 "조선"을 따서 한국을 자조적으로 "헬조선"이라고 칭하는 것 역시 이상한 일이 아니다.
notorious = ill-famed 악명높은
suicide rate 자살율
drop out 떨어져 나가다, 중퇴하다, 빠지다, 나오되다
jump into = step into = go into = enter into = hop into = take the plunge into ~에 뛰어들다, ~에 착수하다, ~을 시작하다
rat race 치열한 생존 경쟁, 먹고 살려는 아사리팜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 from birth to death = during one's lifetime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생동안
no wonder ~라는 것은 놀랍지 않다, ~하는 것이 당연하다
youngster 청소년, 아이
코리아타임스위클리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