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2/02/761_324136.html
Policy failures should not be repeated
정책 실패가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widen = broaden 넓어지다, 넓히다, (정도/범위)커지다, 확대되다, 키우다, 확대하다
width = breadth 폭, 너비, 폭넓음
length 길이, 시간, 기간
range 범위
depth 깊이
height 높이, 키, 고도, 높음
income = earnings = profit = gain = revenue 소득, 수입
pay = wage = remuneration 금료, 임금, 보수
salary 급여, 봉급, 월급
disparity = difference = inequality = gap = distinction (격식) (특히 한쪽에 불공평한)차이
policy failure 정책실패
repeat 반복하다, 되풀이하다
repetition 반복, 되풀이
repetitive = monotonous = repetitious = dull = dreary (지루한/단조로운 정도로) 반복적인, (계속)반복되는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deepened over the past four years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the richest 10 percent increased by 14.29 million won ($12,000) from 2016 to 2020, according to the office of Rep. Choo Kyung-ho of the main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Tuesday.
문재인정부 들어 지난 4년간 빈부 격차가 심화됐다. 20일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에 따르면 상위 10% 부자의 연평균 소득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429만원 증가했다.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빈부격차
the rich and poor = the haves and have-nots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 가진 사람과 못가진 사람
deepen 깊어지다, 깊게하다, 악화되다, 악화시키다, 더 깊어지다
average annual income 연평균소득
the richest 10 percent = the top 10 percent 상위 10% 부자
the poorest 10 percent = the botton 10 percent 가난한 하위 10%
increase by ~만큼 증가하다, ~만큼 늘어나다
increase to ~로 늘어나다
In contrast, the average income of the poorest 10 percent rose by only 170,000 won during the corresponding period. This means the annual income of the top 10 percent, which was 68.6 times that of the poorest 10 percent in 2016, rose to 69.8 times in 2020. The wealth disparity between the rich and poor steadily narrowed from 2016 to 2019. Yet it began to widen from 2020, apparently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장 가난한 10퍼센트의 평균 소득은 해당 기간 동안 17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상위 10%의 연 소득이 2016년 하위 10%의 68.6배였던 것이 2020년에는 69.8배로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빈부 격차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좁혀졌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2020년부터 확대되기 시작했다.
in contrast = by contrast = in contrast to[with] 대조적으로, 이에 반해서, 그에 반해서, ~에 비해서
on the contrary = on the other hand 그와는 반대로, 이에 반하여
contrast 차이, 대조, 대비, 대조적인 것, 대조하다, 대비시키다
contrary = opposite 반대의, 상반되는, 적합하지 않은, ~와 다른, 정반대, 역의, 반대되는것
during the corresponding period = during the same period 같은 기간동안, 같은 시기에
correspond = agree = tally = match up 일치하다, 부합하다, ~에 해당하다, 상응하다, (격식)~와 서신을 주고받다
corresponding = equivalent ~에 해당하는, 상응하는
rise by ~만큼 오르다
rise to ~로 증가하다, ~에 오르다
wealth disparity = wealth gap = wealth inequality 부의 불균형, 부의 격차
steadily = constantly = faithfully = consistantly 지속적으로, 일관하여, 착실하게, 견실하게, 끊임없이
narrow 좁은, 좁히다, 좁아지다, 눈살을 찌푸리다, 아슬아슬하게된, 가까스로 된
narrow-minded = intolerant = bigoted 너그럽지 못한, 속이 좁은, 편협한
broad-minded = open-minded = tolerant 마음이 넓은, 속이 열린, 편협하지않은
apparently = seemingly = outwardly = on the surface 듣자하니, 보아하니, 겉보기에는, 외견상으로는
affect = influence = have an effect on = have an influence on 영향을 미치다, 작용하다, 악영향을 미치다
The economic inequality trend was even apparent in the top 0.1 percent. The combined annual income of the richest 0.1 percent ― 24,581 people ― amounted to 40.85 trillion won in 2020, equivalent to 1.62 billion won per person on average, up by 371 million won per person from 2016. This means the income of the top 0.1 percent was 848.4 times that of the bottom 10 percent in 2020.
경제적 불평등 추세는 상위 0.1%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부유한 0.1%(2만 4,581명)의 통합 연 소득은 2020년 40조 8,500억원으로, 1인당 평균 16억 2,000만원에 해당해 2016년보다 1인당 3억 7,100만원 늘었다. 이는 상위 0.1%의 소득이 2020년 하위 10%의 848.4배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economic inequality 경제적 불평등, 경제 불균형
socio-economic inequality 사회 경제적 불균형
apparent = obvious = certain = clear = evident = indisputable = manifest = plain = undeniable 분명한, 누가봐도 알수있는, ~인것처럼 여겨지는
combined = united = integrated 결합된, 합동의, 연합의
amount to = add up to = total to ~에 이르다, ~에 달하다
equivalent to ~와 같은, ~와 상응하는, ~와 같음, ~와 상음함
per person = per capita 1인당, 두당
on average 평균적으로
trillion 1조
billion 10억
million 100만
Rep. Choo explained that the widening income inequality has mainly been due to the fallout from the devastating COVID-19 pandemic. The disparity has actually deepened, according to the World Inequality Report 2022, which showed Korea's richest 10 percent possessing 58.5 percent of the country's entire wealth in 2021, an increase of 0.1 percentage point from the previous year.
추 의원은 소득 불평등이 확대된 것은 파괴적인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가 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세계불평등보고서(World Inequality Report 2022)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상위 10% 부자가 전체 부의 58.5%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년보다 0.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explain = account for = elucidate = clarify = give an explanation[account] = elaborate 설명하다, 자세히 설명하다
mainly = primarily = chiefly = mostly = principally = largely = in the main 주로, 대체로, 대게
fallout = aftermath = aftereffect = sequela 좋지못한 결과, 여파, 후유증
devastating = destructive = disastrous = catastrophic 대단히 파괴적인, 피해가 극심한, 충격적인, 처참한, 파괴적인
possess = have = own = carry 소유하다, 보유하다, 소지하다, (자질/특성을)지니다, 갖추고 있다, 사로잡다, 지배하다
possession = belongings = property = wealth = asset = fortune 소유, 소지, 보유, 소유물, 소지품, 차지함
possessive 소유욕이 강한, 독점욕이 강한, 소유격, 소유대명사(=genitive)
from the previous year = year-on-year = year-of-year 전년대비
The nation's economy grew 4 percent last year, exceeding its pre-COVID-19 level. Despite such a robust recovery, the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widened further.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has dealt a severe blow to small business owners and the self-employed.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는 4% 성장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이처럼 견조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빈부 격차는 더 벌어졌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nation's economy = national economy = state economy 국가경제, 국민경제
exceed = surpass = outdo = outstrip = jump = be superior to 능가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초월하다
robust = sturdy = firm = strong = solid = sound = healthy 탄탄한, 튼튼한, 건강한, 강력한, 원기완성한
recovery = restoration = recuperation = regain = revival = retrieval = redemption 회복, 되찾음
recover = restore = regain = get back = recuperate = revive = retrieve = redeem 되찾다, 회복하다, 만회하다
the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빈부격차
prolonged = protracted = long-drawn-out = long-term = dragging = strongly adhesive 장기의, 오래끄는, 장기화된
deal a blow = strike a blow = deliver a blow = give a blow 강타를 날리다, ~에 큰 충격을 주다, ~을 치다, 한대치다
severe = harsh = serious = stern = intense = extreme 극심한, 심각한, 가혹한, 혹독한
small business owner 소상공인
the self-employed 자영업자
The widening wealth gap has also been ascribed to the ill-conceived economic policies of the Moon administration. The so-called "income-led growth" policy resulted in the collapse of many small businesses affected by, for instance, a drastic increase in minimum wages. Failed housing market policies caused real estate prices to soar with household debt hitting an all-time high. Amid a lingering employment crunch, incomes of less privileged people continued to decline while the wag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widened further.
부의 격차가 커진 것도 문재인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 탓이다. 소위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은 예를 들어 최저 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영향을 받는 많은 중소기업의 붕괴를 초래했다. 주택시장 정책 실패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가계부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 경색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소외계층의 소득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be ascribed to = be attributed to ~때문이다, ~탓으로 돌리다
A be to blame for B a는 b에 대한 책임이 있다
ill-conceived 계획이 잘못된, 구상이 잘못된
conceive = come up with = create (생각/계획)마음속으로 품다, 구상하다, 상상하다, (아이를)임신하다
conception (계획)구상, 이해, 신념, (난소의)수정
conceit 자만심, (격식)기발하지만 성공적이지 못한 효과/장치, 비유(=metaphor)
ill-advised 경솔한, 문제의 소지가 있는, 무분별한
well-advised 분별있는, 현명한, 가장 분별있는
economic policy 경제정책
the so-called = what we called = in inverted commas 소위, 이른바
in inverted commas = in quotation marks 인용부호안에, 따옴표안에, 소위, 이른바
income-led growth 소득 주도 성장
resulte in = lead to ~을 낳다, ~을 야기하다, 그 결과 ~가 되다
collapse = crash = crumble = fall = ruin = disintegrate 무너지다, 해체되다, 붕괴하다, 몰락하다
integrate 통합시키다, 통합되다
segregate (인종/종교/성별)차별하다, 분리하다, 구분하다, 떼어놓다
disintegrate = fall apart 해체하다, 산산조각나다, 붕괴되다
drastic = steep = sharp = rapid = sudden 급격한, 과격한, 과감한
the minimum wage 최저인금
the maximum wage = the highest wage = the wage ceiling 임금상한, 최고임금, 상한임금
housing market 주택시장
real estate = realty = real property = property 부동산
soar = skyrocket = rocket = jump 급증하다, 급등하다
household debt 가계부채, 가계빛
hit an all-time high 사상 최고치에 이르다, 사상최고에 달하다
employment crunch 고용 경색
credit crunch 신용 경색
crunch (비격식)불쾌한 중대상황, 불쾌한 정보, 아작아작 씹다, 으드득 거리다(=scrunch)
lingering = prolonged = protracted = long-drawn-out = long-pending 오래끄는, 장기화된
the less privileged = the underprivileged = the disadvantaged = a neglected class = underdog 소외계층, 약자층
lower-income group = low-income bracket 저소득층
the privileged class = overdog = a charmed circle 특권층
decline 감소하다, 줄어들다, 거절하다, 사양하다
wage gap = wage differential 임금격차
differentiate = distinguish = discriminate 구별하다, 구분짓다, 차별하다
The bipolarization of wealth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Policies should first be focused on helping those who are most vulnerable to COVID-19. Measures should also be taken to strengthen the social safety net and ensure a more equal distribution of wealth to prevent social conflict from worsening. Major presidential candidates should embark on a full-fledged debate on how to narrow income inequality and lay the groundwork to push for policies based on public consensus in the forthcoming government.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한 부의 양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정책은 우선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이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보다 균등한 부의 분배를 보장해 사회 갈등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 주요 대선주자들은 앞으로 다가올 정부에서 소득불평등을 어떻게 좁히고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인지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해야 한다.
bipolarization 양극화
polarization 분극화, 대립, 극성을 가짐
bipolarization of wealth 부의 양극화
global phenomenon 세계적인 현상, 글로벌 현상
focus on = concentrate on ~에 주력하다, 초점을 맟추다
vulnerable to ~에 취약한, ~에 피해를 입기 쉬운, ~에 상처입기 쉬운
take a measure[action] 조취를 취하다
strengthen = enhance = reinforce = build up = intensify = tighten 강화하다, 더 튼튼하게 하다
social safety net 사회안전망, 최저생활보장제도
societal (격식/전문용어) 사회의
ensure = make sure 확실히하다, 보장하다
distribution of wealth 부의 분배
equal = equitable = fair = just = even-handed = impartial 공정한, 공평한
partial = unfair = biased 부분적인, 불완전한, 편파적인
embark on[upon] ~에 착수하다, (배에)승선하다
full-fledged = full-grown = fully-developed = decent = respectable 자격을 제대로 갖춘, 깃털이 다난, 완전히 성장한
fledged 날수있게 된
income inequality 소득 불평등
lay the groundwork = gain a foothold [footing] 토대를 마련하다, 기틀을 마련하다, ~의 기초를 놓다, 터를 닦다
groundwork = foundation = basis = base = cornerstone = foothold = footing 준비작업, 기초작업, 지하공사
push for = call for = demand = request 요구하다, 조르다
public consensus 국민적 합의, 국민의 의견일치, 대중적 합의
forthcoming = coming = next = upcoming 다가올, 곧 있을, 다가오는, 마련된
imminent = impending = pending 곧있을, 임박한, 목전의, 금방이라도 닥칠듯한
코리아타임스위클리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