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3/01/741_343397.html?utm_source=CU
K-pop rookie girl group NewJeans has faced malicious comments from Chinese online users after promoting Korea's traditional paper "hanji" and its papermaking technique.
K팝 신예 걸그룹 ‘뉴진스'가 한국 전통 종이 한지와 한지 제조술을 홍보한 후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의 악플에 시달리고 있다.
be under attack = come under attack 공격을 받다, 비난을 받다
online user 온라인 이용자
troll 트롤(부정적이거나 선동적인 글 및 댓글을 인터넷에 게재하는 사람 또는 그런 메세지)
troll comment = malicious comment 악플, 악성댓글
trolling (인터넷상에서의) 낚시질 (콘텐츠 소비자에게 불쾌하거나 자극적인 내용을 업로드하는 것)
rookie = novice = greenhorn = tenderfoot = newbie = fledgling = newcomer 초보자, 초심자, 신참, 신인선수
malicious = malevolent = spiteful = wicked = evil = vicious = ill-intentioned = evil-minded = belligerent = hostile = antagonistic = antipathetic = aggressive = unfriendly 악의적인, 적의적인
malice = spite = ill will = ill feeling = animosty = antipathy = hostility = ill feeling = bad feeling 악의, 앙심, 적의, 반감,적대감
promote = tout = publicize = advertise = hype = boast 광고하다, 홍보하다
papermaking technique 제지 기술
Chinese users claim "cultural appropriation" by saying Korea is trying to "steal" its traditional culture because China invented paper, while Korean users counter the claim by saying the group did not claim paper originated in Korea but simply talked about Korea's own papermaking tradition.
중국 누리꾼은 중국이 종이 발명국인데 한국이 중국의 전통 문화를 ‘훔치려' 한다며 ‘문화 도용'을 주장했지만 한국 이용자들은 뉴진스는 한국이 종이를 발명했다고 말한 것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종이 제작 전통에 대해서 이야기했다고 반박했다.
claim = insist 주장하다
cultural appropriation 문화 도용, 문화 유용
traditional culture 전통 문화
invent = devise = think of = create 발명하다, 창조하다, 자아내다, 고안하다
counter = refute = deny = rebut = dispute = controvet = contradict = offer a rebuttal = argue with 반박하다, 논박하다
originate in = come from = derive from = stem from = have its root in = have origin in = arise from ~에서 유래하다
origin = beginning = root = genesis = home = cradle = birthplace 기원, 발생, 발생지, 요람
tradition = custom = heritage = convention 전통, 관습, 관례
hereditary = patrimonial = inherited = traditional 세습되는, 유전적인
The girl group appeared in the hanji promotion video that was organized by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an affiliat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posted on the foundation's YouTube channel on Friday.
뉴진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산하기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기획하고 지난 6일(금요일) 공진원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한지 홍보영상에 출연했다.
appear in = come out = show up = turn up ~에 나타나다, ~에 등장하다
promotion video 홍보영상, 프로모션 영상
oroganized by = hosted by ~가 주최한
affiliate 제휴사, 계열사, 부속기관
subsidiary 자회사, 부수적인, 자회사의
under the auspices of = under the sponsor ship of ~의 지원으로,~의 후원하에, ~의 주최로
post on = upload on = put up 게시하다
foundation (법인)재단
In the 13-minute video, the five members, clad in traditional Korean dress or "hanbok," talked about the distinct features of hanji, which is made with the inner bark of the mulberry tree, such as its durability, long history of more than 1,300 years, and its use in restoring cultural assets worldwide, including at the Louvre. They also experienced hanji making with hanji expert Ahn Chi-yong.
이 13분 길이의 영상에서 한국 전통 의상 ‘한복'을 착용한 뉴진스 다섯 멤버는 닥나무의 속껍질로 만들어진 한지 고유 특징인 내구성, 1300년 이상의 유구한 역사 및 루브르 박물관을 포함한 세계 문화 자산의 복원에 한지가 사용되는 등의 장점에 대해 이야기했다.
clad in = dressed in = donned ~한 옷을 입은
don (옷 등을) 입다, 쓰다, 신다
doff (경의를 표하며) 모자를 벗다, 들어올리다, 벗다
traditional Korean dress = hanbok 한복, 한국 전통 의상
distinct = characteristic = peculiar = distinguishing = special = particular 독특한, 특징적인, 특색있는, 특정한
feature = character = characteristic = peculiarity = 특징, 특색, 특성
inner bark 속껍질
mulberry = mulberry tree 뽕나무, 닥나무, 꾸지나무, 오디나무
durability 내구성
restore = recover = recouop = recuperate = reinstate = return = rehabilitate = bring back 회복하다, 되찾다
cultural asset 문화재, 문화적 자산
After the experience, the members said that they've learned more about the traditional paper, expressing hope that people will use hanji more often in everyday life.
체험이 끝난 후 뉴진스 멤버들은 한국 전통 종이에 대해 더 많이 배웠다며 사람들이 일상에서 한지를 더 자주 사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experience 경험, 체험
practical practice = practical exercise 실습
apprenticeship 수습기간, 수습직
apprentice 수습생, 도제, 수습생으로 삼다
learn more about ~에 대해 더 자세히 배우다
express a hope that ~라는 희망을 말하다, ~란 기대를 말하다
pin hope on ~에 희망을 걸다
in everyday life = in daily life 일상생활에서, 일상에서
The promotional video, however, drew a flood of negative comments from Chinese online users on NewJeans' social network channels for "cultural appropriation."
그러나 이 홍보 영상이 공개된 후 뉴진스의 사회적관계망서비스에 ‘문화 도용'이라는 중국 네티즌들의 부정적 의견이 속출했다.
a flood of = a deluge of = a barrage of = a rush of = a uprush of = a surge of = a swarm of = a spate of = a storm of = inundated = floodful = an avalanche of = a fusillade of 쇄도하는, 몰려드는, 물밀듯 들어오는, 솟구치는
social network channel 사회적관계망 서비스, 소셜네트워크채널
cultural appropriation 문화 도용, 문화 유용
Saying that papermaking originated in China, they claimed that Koreans are trying to steal China's traditions. "You Koreans never studied history and so have a low understanding of it," one user wrote.
중국 네티즌들은 제지술이 중국의 것이라며 한국인들이 중국 전통을 훔치려 한다고 주장했다. 한 중국 네티즌은 "한국인들이 역사 공부를 전혀 하지 않아서 (역사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고 적었다.
originate in = come from = derive from = stem from = have its root in = have origin in = arise from ~에서 유래하다
claim = insist 주장하다
self-proclaimed = self-appointed = soi-disant 자칭의, 자기혼자 주장하는
have a low understanding 이해도가 낮다
have a high comprehension 이해도가 높다
"Why do Koreans always steal?" another posted, while a different user wrote, "Koreans earlier stole China's traditional knotting, they are now stealing papermaking, and maybe they will steal Chinese characters next time."
다른 중국 네티즌은 "왜 한국인은 모든 것을 훔쳐 가냐"고 적었고, 또 다른 중국인 이용자는 "한국인들은 전에 중국의 전통 매듭 짓기를 훔쳤고, 이제는 제지술을 훔치려 하며, 다음에는 한자를 훔칠지도 모른다"고 적었다.
steal = snaffle = snatch = intercept = purloin 훔치다, 가로채다
plagiarize 표절하다
stealing = theft = burglary = robbery = larceny 절도, 도둑질, 절취
knotting 매듭짓기, 매듭세공, 매듭매기
Chinese character 한자
To these claims and comments, Korean online users responded firmly, saying Koreans are aware that papermaking spread from China to Korea; NewJeans never said papermaking originated in Korea; and what the group promoted was the high level of quality of hanji paper, which has been developed in its own way in Korea through more than 1,300 years of history.
이러한 주장과 댓글에 한국 온라인 유저들은 제지술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파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고 단호하게 대응했다. 뉴진스는 제지술이 한국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한 적이 없으며, 1300년이 넘는 시간을 거치며 한국에서 고유의 방식으로 개발된 한지의 높은 품질을 홍보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respond frimly 단호하게 대응하다
paparmaking 제지
one's own way ~의 나름대로, ~고유의 방식으로
"Chinese people, throw away the nationalism. Smartphones originated in the U.S., but has the U.S. ever been mad at you because Xiaomi promotes smartphones?" one user wrote.
한 한국인 이용자는 "중국인은 국수주의를 버려야 한다. 스마트폰은 미국에서 유래했지만 (중국 스마트폰 회사인) 샤오미가 스마트폰을 홍보한다고 미국이 화낸 적이 있나"라고 적었다.
throw away = ditch = discard = throw out = junk = desert = abandon = cast away = fling away = junk = bin 버리다
nationalism 민족주의, 국수주의, 애국심
be mad at = blow up at = get mad at = get angry ~에 화내다
promote = tout = publicize = advertise = hype = boast 광고하다, 홍보하다
"Right, everything in the world was created by China. Pasta and pizza originated in China and Jesus is Chinese," another posted, sarcastically.
또 다른 한국인 이용자는 "맞다. 세상 모든 것은 중국이 개발했다. 파스타와 피자는 중국에서 유래했고 예수는 중국인"이라고 냉소적으로 답했다.
sarcastically = sarkily = satirically 풍자적으로, 냉소적으로, 비꼬듯이, 빈정대며
satire = lampoon = sarcasm = innuendo 풍자, 비꼼, 빈정댐
sarcastic = sarky = satirical = satiric 풍자적인, 비꼬는
lampoon = satirize = innuendo = parody 비꼬다,풍자하다
"Chinese people watch Korean dramas by illegally downloading them and copying Korea's entertainment programs ― now they are calling Koreans thieves?" another wrote.
또 다른 한국인 이용자는 "중국인들은 한국 드라마를 불법 다운로드해서 보고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모방하면서 한국을 도둑이라고 하나"라고 적었다.
illegally = unlawfully = illegitimately = illicitly 불법적으로, 비합법적으로
download 다운로드하다, 데이터를 내려받다
copy = mimic = imitate = reproduce 모방하다, 복사하다, 흉내내다
fascimile = duplication = reproduction 복사, 복제
thief = stealer = off artist = larcenist = robber = robber 도둑, 절도범
코리아타임스위클리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댓글